이 연구는 2016년부터 2021년까지 통계청에서 수행한 [연금 통계]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 보고서입니다. 이 연구는 연금 데이터를 종합하여 초고령 시대의 노인 빈곤 문제와 복지 국가 개혁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으며, 연금 수급 현황과 가입 상황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제시합니다.
![2016 ~ 2021년 [연금통계] 개발 결과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a/Evp2g/btszgXoJvT3/AAAAAAAAAAAAAAAAAAAAAJyv2RU2khHZXWmj2XVsZxVJJ6i2Hc9X6X1PChto7r-l/img.png?credential=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&expires=1764514799&allow_ip=&allow_referer=&signature=kpE%2B9gdiuwurpWsNfsq%2BpV%2FCYmQ%3D)
통계청(청장 이형일)은 노인 빈곤 문제의 해소와 지속 가능한 복지 국가 개혁을 지원하기 위해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연금 통계 개발을 진행하였으며, 이에 대한 결과를 26일에 발표하였습니다.
이 연금 통계는 통계등록부를 중심으로, 기초 연금, 국민 연금, 직역 연금, 주택 연금 등 11종의 공공 및 사적 연금 데이터를 통합하여 연계한 것으로, 노인세대의 연금 수급 현황과 수준뿐 아니라 젊은 세대의 연금 가입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.

통계청은 2021년부터 연금 통계 개발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, 행정 자료 활용 협의, 개별 연금 데이터 수집, 정제 및 연계, 그리고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습니다. 이 과정에서 다수의 정책 기관, 데이터 제공 기관 및 전문가가 적극적으로 협력하였으며, 이로써 연금제도 도입 이후 처음으로 모든 종류의 연금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통계를 개발하게 되었습니다.
연금 통계 개발 결과에 따르면, 2021년에는 65세 이상 내국인 862만 명 중 777만 명이 연금을 수령하였으며, 수급률은 90.1%이었으며, 85만 명은 아무런 연금을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연금 수령자의 평균 수령액은 60만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.


또한, 18~59세 내국인 3,013만 명 중 2,373만 명이 연금에 가입하였으며, 가입률은 78.8%이었으며, 640만 명은 아무런 연금에 가입하지 않았습니다. 가입자의 평균 보험료는 32만 9천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.
가구를 기준으로 살펴보면, 65세 이상 인구가 포함된 615만 가구 중 587만 가구가 월평균 77만 1천 원의 연금을 수령하였으며, 수급률은 95.4%이었습니다. 18~59세 인구가 포함된 1,660만 가구 중 1,515만 가구가 연금에 가입하였으며, 가입률은 91.3%이었습니다.
개인서비스 > 조회 - 국민을 든든하게 연금을 튼튼하게
소득 있는 업무 종사(중단) 신고 수급자가 소득 있는 업무(부동산임대, 사업, 근로 등)에 종사하고 있는 경우에 신고합니다.(직원 확인 후 처리)
minwon.nps.or.kr
연금 통계 개발 결과는 정부의 노후소득보장 정책 및 국정운영을 과학적으로 지원하고 세부적인 데이터로 뒷받침하며, 정책 연구 및 분석, 민간 기업의 맞춤형 연금 상품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
통계청은 연금 통계 개발을 계기로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고 사회 문제를 해결하며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'통계 데이터 허브' 역할을 강화할 계획입니다.
※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첨부 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.
댓글